우울증과 조울증의 약물 치료 차이

우울증과 조울증의 약물 치료 방법의 차이

일상 생활을 방해 받을 정도의 심한 우울감에는 항우울제를 통한 약물치료가 매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경증이거나 중등도의 주요우울장애(이하 우울증)에 대해서는 먼저 인지행동치료를 시도하는 게 좋지만,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이 생길 정도의 우울증이라면 약물치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그렇다면 우울증이 의심되면 쇠뿔도 단김에 빼듯 빠르게 약물치료를 진행하면 안 되는 걸까요? 우울증을 두고 흔히 마음의 감기라고 이야기하면서, 왜 정작 우울증의 진단은 정신과 의사의 판단하에 신중하게 이루어지는 걸까요?

그 이유는 우울하지만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안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에요.

조증을 부르는 항우울제 복용

우울감은 주요우울장애에서만 나타나는게 아니에요. ‘조울증’이라 불리는 양극성장애(이하 조울증)에서도 우울감이 나타날 수 있답니다.

여기서 문제는 양극성장애 환자가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곧이어 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거예요. 조울증이란 우울한 기분과 들뜬 기분이 번갈아 나타나는 상태를 말해요. 이런 상태에 한쪽을 억누르면 우리 몸은 빠르게 조증으로 치닫게 될 거랍니다.

양극성장애를 시사하는 우울증 증상

이처럼 우울증과 양극성장애는 우울한 기분을 유발할 수 있지만, 발생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까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두 질환을 정확히 구별하는 것이 중요해요.
다음은 우울감을 느낄 때 그것이 양극성장애에서 비롯된 우울감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이에요.

  • 과거에 기분이 들뜨고 에너지가 과도하게 넘치는 시기를 경험한 적이 있어요.
  • 1차 친족 내에 양극성 장애를 진단 받은 가족이 있어요.
  • 태생적으로 과잉기분(업 되어 있음) 또는 과민한(예민함) 기질이 있어요.
  • 우울증이 25세 이전에 시작되었어요.
  • 우울증이 3회 이상 재발했어요.
  • 3개월 이내의 짧은 우울증을 경험했어요.
  • 산후 우울증을 경험한 적이 있어요.
  • 우울증을 진단 받았는데 많이 먹고 많이 자요.
  • 우울증을 진단 받았는데 긍정적인 정서(기쁨, 행복)가 동반되어 있어요.
  • 우울증을 진단 받았는데 초조하고, 활동적이에요.

양극성장애의 약물치료는 기분조절제

양극성장애가 의심되면 조금 더 면밀한 진단이 필요해요. 가능하다면 위와 같은 내용들을 적극적으로 의사에게 공유하는 것이 좋아요. 만약 우울증이 아니라 양극성장애로 진단 되었다면, ‘항우울제’가 아니라 ‘기분조절제’를 복용해야 한답니다. 기분조절제는 말 그대로 기분을 조절하는 능력을 높이는 것이에요. 즉, 들뜬 기분과 우울한 기분 사이의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지요.

어려운 우울증과 양극성장애의 구분

하지만 우울증과 양극성장애는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요. 일반적으로 우울증으로 처음 병원에 내원하게 되면, 과거에 조증 또는 경조증의 유무에 따라 진단을 다르게 내리지만 이를 판단하는 과정이 쉽지 않고, 양극성장애 환자의 절반 이상은 질환의 시작이 우울증이며 이후 조증 삽화가 발생하기까지 평균적으로 6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돼요.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약 10-20%는 진단 이후 조증 삽화를 경험하면서 진단명이 양극성장애로 바뀌기도 한답니다.

이와 같은 어려움 때문에 정신과 의사에게도 우울증과 양극성장애를 구분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에요. 따라서 어설픈 자가 진단 보다는 반드시 병원에 내원하여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조금이라도 증상이 의심된다면 편한 마음으로 도움을 받아보도록 하세요.

생각과 거리두고
가치로 나아가세요
Step from thoughts, walk to values
디스턴싱 시작하기
디스턴싱 아티클을 매주 받아보세요.
디스턴싱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