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가 마음 문제를 일으키는 방식
2025-02-04
2/4/2025 11:23 AM

어린 시절 경험한 트라우마는 아동기뿐만 아니라 성인기에 접어든 뒤에도 정신건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어떠한 이유에서 아동기 트라우마의 영향력이 그렇게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걸까? 수십 년 전의 트라우마가 마음속에 꽂혀 우울하고 불안하게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되어줄 만한 연구가 있다.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라는 정신의학 저널에 실린 ‘아동기 트라우마와 성인기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 비추어 본 자존감의 역할(The role of explicit and implicit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adult depression and anxiety)’이라는 논문이다.

아동기 트라우마가 성인기 우울과 불안 위험을 키운다

연구진은 네덜란드에서 2004년부터 진행된 우울증 및 불안 장애에 대한 장기 코호트 연구에서 데이터를 차용했다. 약 2,900명 가량의 성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아동기 트라우마의 노출 경험 여부 및 빈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더욱 세밀한 분석을 위해 아동기 트라우마를 1) 정서적 방임, 2) 정서적 학대, 3) 신체적 학대, 4) 성적 학대, 그리고 5) 심리적 학대로 나누어 조사했다. 그리고 아동기 트라우마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우울, 불안, 그리고 자존감의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도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아동기 트라우마는 다양한 기분 및 불안 장애의 위험을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유형에 따라서 연관된 세부 질환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정서적 방임: 방치 및 애정 결핍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서적 방임의 경우에는 만성 우울증, 사회 공포증 및 범불안장애와 연관성이 높았다.
  2. 정서적 학대: 협박, 비난 등의 언어폭력이 주를 이루는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사람은 재발성 주요 우울 장애 및 공황장애에 이환될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3. 신체적 학대: 아동기 신체적 학대는 만성 우울증 및 PTSD의 위험 증가와 강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4. 성적 학대: 어린 시절 성적 학대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은 특히 PTSD와 공황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불안 장애의 위험이 컸다.
  5. 심리적 학대: 교묘한 조종, 가스라이팅 등의 심리적 학대는 사회 공포증 및 범불안장애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심리적 학대는 정서적 학대를 아우르는 더욱 포괄적인 개념이다.)

낮은 자존감이 아동기 트라우마와 정신건강 문제를 잇는 징검다리

흥미로운 점은 모든 유형의 아동기 트라우마가 자존감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며, 이 낮아진 자존감이 어린 시절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과 성인기에 발생하는 정신건강 문제 사이를 매개하는 중간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분석 결과가 관찰되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트라우마는 개인이 스스로 자각할 수 있는 명시적 자존감뿐만 아니라 무의식에서 작용하는 암묵적 자존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어린 시절 방임과 학대 경험은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자존감을 해치기 때문에 이를 통로 삼아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도 우울, 불안 등의 다양한 정신적인 어려움을 유발하는 것이다.

자존감을 회복해야 마음이 건강해질 수 있다

연구에서 알 수 있듯, 트라우마와 반복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자존감이 무너져 있는 상태라면 자존감을 회복하는 훈련을 받아야 우울과 불안을 떨쳐낼 수 있다. 정신건강 전문가들 역시 자존감의 중요성을 염두에 두고 우울증 및 불안 장애 환자에서 자존감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인지행동치료, 자기 연민 훈련을 병행하고 있다. 수용 기반의 접근들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디스턴싱도 그중 하나다.

자존감은 안정적인 마음의 필수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 자신은 가치 있고 사랑받아야 마땅하다는 생각이 튼튼하게 지탱해줘야 행복한 마음을 지을 수 있기 마련이다.

참고 문헌

Gathier AW, van Tuijl LA, Penninx BWJH, et al. The role of explicit and implicit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adult depression and anxiety. J Affect Disord. 2024;354:443-450. doi:10.1016/j.jad.2024.03.036

지금 변화를
시작하세요

3개월 이용 후 불만족시 200% 페이백 해드립니다.
디스턴싱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