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너무 많으면 힘들다’는 말이 있다. 사실 생각이 많다는 게 항상 나쁜 건 아니다. 인생에서 중요한 문제를 마주하게 되었을 때, 충동적으로 선택하는 것보다 다양한 선택지의 장단점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고 신중하게 결정을 내리는 것이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질 때가 많다. 똑같은 업무를 맡아도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생각을 많이 해본 사람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내는 것처럼 말이다.
이처럼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생각은 삶을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반면, 정신건강 측면에서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생각은 반추와 과도한 걱정이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나쁜 생각을 통틀어서 반복적 부정 사고(repetitive negative thinking)라고 부르는데,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이러한 인지 패턴은 진단명을 막론하고 모든 정신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
대부분 반추나 과도한 걱정은 우울이나 불안과 관련되지만, 사실 반복적 부정 사고는 우울증과 불안 장애뿐만 아니라 불면증, PTSD, 강박증, 섭식 장애 등의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개별 진단의 경계를 뛰어넘는다는 의미에서 ‘범진단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나쁜 생각은 특정 질환에서 나타나는 단순한 동반증상이 아니라 정신적 어려움의 중심이 되어 작용하는 인지 과정이라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반복적 부정 사고가 질환의 다른 증상을 지속시키고 때로는 악화시키는 동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반복적 부정 사고는 범진단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고의 주된 내용이나 세부 사항은 질환에 따라서 충분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질환인 우울증, 불안 장애, 그리고 PTSD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반복적 부정 사고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1.우울증
우울증에서 나타나는 반복적 부정 사고는 실패, 절망, 상실 등의 주제에 치중된 경우가 많다. 특히 미래에 대한 막연한 걱정보다는 과거의 실패했던 경험이나 대인관계 문제 등에 대한 반추가 흔히 문제가 된다. 이러한 인지 패턴이 반복될수록 자존감이 하락하고 무가치감이 증폭되는 등 부정적인 자아상이 강해지므로 우울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지속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2. 불안 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를 비롯한 불안 장애에서는 미래의 불확실성이나 잠재적 위험에 초점을 두는 과도한 걱정이 주로 나타난다.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끊임없이 걱정하면 실제로 이러한 걱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불행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내재되어 있는 일종의 방어기제인 것이다. 하지만 걱정이 일시적으로는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불안 장애를 유지하고 악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3. PTSD
PTSD 환자는 과거의 트라우마 경험을 반복적으로 떠올리고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인지 패턴은 트라우마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게 하고, 이로 인해 계속해서 고통스러운 기억이 생생하게 유지될 수밖에 없다. 아울러 미래에 비슷한 사건이 다시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동반되는데, 이는 회피 행동이나 과각성을 강화하기 때문에 결국 PTSD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개별 질환에 따라서 차이점은 존재하지만, 반복적 부정 사고가 정신건강 문제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인지 과정이라는 사실만큼은 분명하다. 따라서 버거운 마음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계신 분이라면 더욱 자신의 인지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이 나를 괴롭히고 있는 건 아닌지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게 중요할 것이다.
Ehring, T., & Watkins, E. R. (2008).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as a transdiagnostic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1(3), 192–205. https://doi.org/10.1680/ijct.2008.1.3.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