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치료는 정신건강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핵심적인 치료 방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약 한 알 사용하지 않는 치료법은 대체 어떤 기법으로 마음을 치료하는 걸까? 이번 글에서는 인지행동치료를 꾸준히 받았을 때 우리 마음속에 어떤 변화들이 생기는 것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마침 세계적인 정신의학 학술지인 Depression and Anxiety에 이번 주제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연구가 소개되었다. 바로 ‘감정조절이 우울증 및 불안 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에서 마음챙김의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Emotion Regulation as a Mechanism of Mindfulness in Individual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ion andAnxiety Disorders)’는 논문이다. 다소 복잡한 제목 때문에 어떤 내용인지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우선 ‘인지행동치료’, ‘마음챙김’, ‘감정 조절’이라는 핵심 단어만이라도 짚고 넘어가 보자.
연구진은 마음챙김과 감정조절 능력에 집중해서 인지행동치료가 어떻게 우울과 불안을 경감시켜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는 총 162명의 18~65세 사이 성인남녀가 참여했고, 모두 구조화된 임상 면담을 통해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로 정식 진단받은 환자였다.
연구진은 참가자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배정했는데, 첫 번째 그룹은 개별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받았고, 두 번째 그룹은 이에 더해 각 세션 시작 시점에 5분 간 간단한 마음챙김 연습이 추가되었고, 마지막 그룹은 마음챙김 대신 안정화 요법 중 하나인 점진적 근육이완을 병행했다. 참가자는 이와 같은 프로토콜로 총 25세션에 참여한 이후 우울 및 불안 증상은 물론이고 마음챙김 기술과 반추, 수용, 문제 해결 등의 감정조절 능력이 어떻게 변했는지 자기보고를 통해 평가를 진행했다.
계획된 25세션이 마무리된 이후, 세 그룹에 속한 참가자 모두 우울 및 불안 증상이 처음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연구진은 어떠한 요인들을 통해 증상 호전으로 이어질 수 있었는지 파악하기 위해 매개효과 분석(mediation analysis)이라는 걸 추가적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마음챙김 기술의 향상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마음챙김이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매개했다는 건, 단순히 ‘명상’이라는 행위를 했다는 걸 뜻하는 게 아니다. 마음챙김은 ‘현재 일어나는 일에 집중하고 자신의 감정과 상태를 알아차릴 수 있는 상태이자 능력’ 그 자체를 뜻한다. 즉,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상태를 거리를 두고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이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에 핵심적으로 기여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마음챙김이 불안, 우울과 무슨 상관이 있는 걸까? 연구진이 시행한 매개효과 분석에 따르면, 마음챙김은 반추하는 경향을 줄이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을 키웠다. 반추의 감소 및 수용의 증가라는 마음속의 변화들이 우울 증상이 감소하도록 기여한 것이다.
불안의 경우에는 마음챙김을 통한 회피 감소가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장애가 있는 환자는 부정적 감정을 일으키는 자극을 회피하는 경향이 매우 강한데,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현재에 집중하는 마음챙김 능력을 키움으로써 회피하는 습관 역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세션 초반에 간단한 마음챙김 연습이 추가되었던 그룹뿐만 아니라 모든 그룹에서 이와 같은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는 사실이다. 결국 현재 나의 경험에 집중하는 것이 목표인 마음챙김 연습과 별반 다르지 않게, 인지행동치료 역시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는 생각과 행동을 쳐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는 것을 뜻한다. 그 이유에서 현대의 거의 모든 인지행동치료는 마음챙김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전통적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적 접근을 통합한 디스턴싱 또한 마찬가지의 접근일 것이다.
Pruessner L, Timm C, Kalmar J, Bents H, Sven Barnow, Mander J. Emotion Regulation as a Mechanism of Mindfulness in Individual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Depression and anxiety. 2024;2024:1-16. doi:https://doi.org/10.1155/2024/908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