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치료, 정말 효과 있을까: 효과 검증의 ‘끝판왕’ 연구 들여다보기
2025-09-09
9/9/2025 3:40 PM

인지행동지료(CBT)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심리치료이다. CBT는 우울증과 불안장애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정신질환을 다루며 병원, 상담소, 학교, 지역사회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다. 디스턴싱 역시 CBT에 기반을 둔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1950년대에 창시된 CBT는 수많은 연구와 임상 경험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된 바 있지만, 아직 대중적인 인식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CBT의 효과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2025년 4월, CBT의 효과를 검증한 ‘끝판왕’ 연구가 정신의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JAMA Psychiatry에 소개되어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바로 ‘성인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통합 메타분석 시리즈(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Mental Disorders in Adults A Unified Series of Meta-Analyses)’라는 논문으로, CBT 효과에 관한 방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의학 연구는 일반적으로 그 형태와 표본크기에 따라서 근거 수준이 결정된다. 참가자를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쪽에만 치료를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하는 ‘무작위 대조군 시험(RCT)’이 임상시험의 기본을 이룬다. 더 나아가, 여러 RCT의 결과를 통합 분석하는 ‘메타분석’은 근거 수준이 가장 높은 연구 방법으로 여겨진다.

연구진은 이러한 메타분석 기법을 채택하여 11가지의 정신질환에 대한 CBT의 효과를 검증하는 RCT를 통합 분석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에는 33,000명에 이르는 참가자를 아우르는 총 375건의 RCT가 포함되었다. 따라서 규모 및 분석의 질 측면에서 현존하는 CBT 관련 연구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살펴본 정신질환은 다음과 같다:공황장애, 사회불안장애, 범불안장애, 특정공포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주요우울장애, 거식증, 폭식증, 정신증, 양극성장애, 강박증.

분석 결과는 위의 그림을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 그래프는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CBT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보여준다. 각 질환명 옆에 표시된 숫자는 CBT의 효과 크기에 해당된다. 이 숫자가 0보다 작으면 CBT가 효과가 없다고 볼 수 있고, 0보다 크면 CBT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뜻이다. 또한 숫자가 클수록 CBT의 효과도 더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연구에 포함된 11가지 정신질환 모두에서 숫자가 0을 넘기 때문에 CBT가 모든 질환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낸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다만 세부적인 효과 크기는 질환별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효과 크기가 0.8 이상이면 뚜렷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킨다고 해석하는데, PTSD가 약 1.27로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그 뒤를 특정공포증이 이었다. PTSD는 트라우마 관련 자극에 대한 회피 반응이, 특정공포증은 공포 대상에 대한 회피 반응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수정을 요하는 명확한 문제 행동이 있을 때 CBT의 효과가 특히 빛을 발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울증, 강박증, 섭식장애 및 대부분의 불안장애 역시 0.8 이상의 효과 크기를 보여, CBT가 임상적으로 충분히 의미 있는 개선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양극성장애와 정신증은 효과 크기가 0.3~0.4 정도로 해당 다소 작았지만, 통계적으로는 여전히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처럼 CBT는 명확한 의학적인 근거를 지닌 치료 방법이다. 어떤 정신건강 문제라도 CBT를 통한 유의미한 개선이 가능하며, 특히 특정 문제 행동이나 치료 목표가 있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참고 문헌

Cuijpers P, Harrer M, Miguel C, et 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Mental Disorders in Adults: A Unified Series of Meta-Analyses. JAMA Psychiatry. 2025;82(6):563-571. doi:10.1001/jamapsychiatry.2025.0482

지금 변화를
시작하세요

주 1회 이상 참여한 후에도
변화가 느껴지지 않으신다면 비용 전액을 돌려드립니다.
디스턴싱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