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 원리, 종류별로 살펴보기

항우울제의 작용 원리

흔히 ‘우울증 약’이라고 불리는 항우울제는 한 가지 약이 아니라, 사실 굉장히 다양한 약으로 이루어져 있는 약물군이다. 화학 구조와 작용 기전은 각기 다르지만 우울증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통틀어서 항우울제라고 일컫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항우울제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자.

항우울제의 기본 원리: 신경전달물질을 변화시키자

오랜 연구를 통해 우울증은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이상으로 유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많은 우울증 환자의 뇌에서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 모노아민 계열 신경전달물질의 수치 및 활동의 저하가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 이들 신경전달물질이 매개하는 뇌의 전두엽과 변연계라는 부위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기분이 우울해지고 매사에 의욕이 저하되며, 식욕이 떨어지고 깊은 잠을 잘 수 없는 등의 우울증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항우울제에 속하는 약물들은 대부분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 등의 모노아민 계열의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의 대사 또는 제거를 담당하는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우울증을 치료합니다. 지금부터는 약물이 개발된 시간 순서대로 항우울제의 분류를 살펴보자.

건강한 사람의 신경전달물질
건강한 사람은 신경전달물질의 활동이 활발하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의 신경전달 물질
우울증에 걸리면 신경전달물질의 수치와 활동이 저하 된다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AOI)

MAOI는 1950년대에 처음으로 항우울제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중추신경계 내에서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모노아민 계열의 신경전달물질이 제거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들의 활성을 높이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MAOI는 효과가 좋지만 비특이적으로 애꿎은 효소나 수용체까지 억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MAOI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혈압 상승, 입마름, 변비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흔히 발생하기 때문에 MAOI를 복용하는 동안에는 병용할 수 없는 약물이 너무 많다. 따라서 현재 우울증 환자에서 MAOI를 일차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삼환계 항우울제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TCA는 MAOI에 이어 1950년대 후반에 우울증의 약물 요법에 처음 적용되었다. 이는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막아 이들이 매개하는 신경회로의 활성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TCA 또한 다소 비특이적인 작용 기전 때문에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MAOI와 마찬가지로 현재 우울증의 일차 치료제로 잘 선택되지 않는다. 반면 대상포진 등에서 나타나는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다른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세로토닌 길항 및 재흡수 억제제 (serotonin antagonist & reuptake inhibitors; SARI)

SARI는 1980년대 최초로 발매되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는 약물이다. 이는 항우울 효과와 항불안 효과 또한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범불안장애의 치료에 적용되기도 한다. SARI의 부작용으로는 입마름, 졸림, 어지러움이 알려져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

SSRI는 1980년대 후반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플루옥세틴(프로작), 파록세틴(팍실),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 등이 이에 해당한다. SSRI는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세로토닌의 재흡수 과정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용 기전 때문에 이름에 ‘선택적(selective)’이라는 말이 들어간다. 선택적이라는 말은 그만큼 다른 약제들에 비해 부작용이 크게 줄어든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처방되는 항우울제가 바로 SSRI다. 하지만 그렇다고 SSRI라고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SSRI의 부작용으로는 소화기 증상, 식욕 저하, 성기능 장애 및 두통 등이 있으며, 개별 약제에 따라서 부작용이 발생하는 빈도가 상이하다.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

SNRI는 세로토닌뿐만 아니라 감정 및 의욕 등에 관여하는 노르에피네프린 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효과 및 부작용은 SSRI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작용 시간이 더욱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SNRI에 속하는 벤라팍신(이팩사) 또한 SSRI 계열의 약물들과 더불어 우울증 환자에서 흔히 활용된다.

약물 치료는 전문가에게

지금까지 항우울제에는 어떠한 약물들이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았다.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작용 기전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효과, 부작용, 그리고 세부적인 쓰임새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항우울제의 종류가 다양한만큼 복용하는 사람의 특성과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 그러니 만약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 복용하고 계신 약물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우울증의 약물 치료에 대한 걱정거리가 있으시다면, 반드시 정신과에 내원하셔서 전문의와 상의하도록 하자.

생각과 거리두고
가치로 나아가세요
Step from thoughts, walk to values
디스턴싱 시작하기
디스턴싱 아티클을 매주 받아보세요.
디스턴싱 시작하기